2024.09.23 (월)

  • 맑음동두천 24.1℃
  • 구름많음강릉 21.9℃
  • 맑음서울 25.9℃
  • 맑음대전 25.4℃
  • 맑음대구 21.9℃
  • 구름조금울산 20.8℃
  • 구름많음광주 25.7℃
  • 맑음부산 24.0℃
  • 구름많음고창 26.2℃
  • 구름조금제주 26.2℃
  • 맑음강화 23.8℃
  • 맑음보은 22.9℃
  • 맑음금산 24.8℃
  • 구름조금강진군 25.6℃
  • 구름많음경주시 21.2℃
  • 맑음거제 23.5℃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주요이슈

꿈의 배터리 전쟁: 전고체 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한 중국과 일본의 치열한 경쟁

전고체 배터리 시장의 급성장, 글로벌 주도권을 위한 국가간 경쟁 심화
한국, 미래 경쟁력 확보 위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필요

 

전고체 배터리, 이른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 기술을 두고 중국과 일본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 기업들도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정부의 보다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현재 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이 뛰어나 차세대 에너지 저장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고체 배터리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2년 2,750만 달러(약 370억 원)에서 2030년에는 400억 달러(약 53조 4,600억 원)로 급성장할 전망입니다.

 

일본, 전고체 배터리 기술 선도

일본은 전고체 배터리 기술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일본 특허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전 세계 전고체 배터리 관련 특허 출원 총 5,438건 중 일본 기업의 특허 출원 수는 2,645건으로 전체의 48.6%를 차지했습니다. 후지필름, 무라타제작소 등 상위 20곳 중 14곳이 일본 기업입니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일본 기업의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을 20%까지 회복하기 위해 총 54조 5천억 원의 민관 투자를 단행하고 있습니다. 경제산업성은 전기차 탑재용 배터리 등을 경제안보상 중요물자로 지정하고 설비투자 비용의 3분의 1, 기술개발은 2분의 1을 보조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혼다는 1조 5천억 원, 도요타는 1조 1천억 원의 보조금을 받았습니다.

 

중국, 전고체 배터리에 막대한 투자

한편, 중국 정부는 최근 전고체 배터리에 1조 원 이상을 투입하는 '원 포인트' 지원에 나섰습니다.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CATL과 웰리온 등 배터리 업체와 비야디(BYD), 디이자동차(FAW), 상하이자동차(SAIC), 지리자동차 등 자동차 업체의 최소 7개 프로젝트가 지원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인 CATL은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생산 계획을 밝힌 바 있으며, 이미 올해 초 2개 프로젝트에 정부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신왕다는 2026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계획을 발표했으며, 고션은 2027년 소량 생산, 2030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SAIC도 2026년 양산을 목표로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 모든 계획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한국, 전폭적인 정부 지원 필요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한국의 대표 배터리 기업들도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지난해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구축을 마치고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SK온은 2029년, LG에너지솔루션은 2030년을 각각 양산 목표 시점으로 설정했습니다.

 

하지만 한국 기업들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없이는 개발에 매진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K-배터리 3사는 북미 지역에 대규모 시설투자에 나서는 등 총 25조 원의 시설투자(CAPEX)를 집행할 계획입니다. 한국 정부는 전고체 등 차세대 배터리 지원을 위해 올해부터 2028년까지 1,172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지만, 이는 중국 정부 지원금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한국이 글로벌 전고체 배터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보다 강력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연구개발 투자의 확대, 기술 인력 양성, 특허 전략 강화 등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됩니다. 이를 통해 한국은 미래 배터리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